옥스포드 행복 설문지 실험결과를 분석한다. 이 실험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는 있는 그대로 옥스포드 행복 설문지로 측정하는 여러분의 행복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둘째는 영문판으로 응답할 때와 국문판으로 응답할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특히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해 보았다.
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설문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의 수효는 세명입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이 1명, Black
을 Red 라고 한 사람이 2명입니다.
Red(랜덤화출석부) |
373 |
1 |
Black(랜덤화출석부) |
2 |
376 |
행복 점수 비교
국문 설문지와 영문 설문지의 행복점수를 비교한다. 행복점수 단계별로
비교했을 때나 기초통계로 비교했을 때나 국문 설문지로 작성한 그룹 (Red)의
행복점수가 높게 나온다.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매우 유의한 수준이다.
summary()
국문:
2.103 |
3.483 |
4 |
4.042 |
4.586 |
5.655 |
영문:
2.103 |
3.414 |
3.69 |
3.836 |
4.172 |
5.345 |
table()
국문 |
0 |
23 |
163 |
156 |
33 |
375 |
영문 |
0 |
6 |
244 |
111 |
16 |
377 |
계 |
0 |
29 |
407 |
267 |
49 |
752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39.56 |
NA |
0.0004998 * * * |
백분율(%)
0.0 |
3.9 |
54.1 |
35.5 |
6.5 |
100.0 |
geom_boxplot()

t.test()
on means
Welch Two Sample t-test: Scores
by
group
4.484 |
706.2 |
4.266e-06 * * * |
greater |
4.042 |
3.836 |
소요시간 비교
초 단위로 측정한 소요시간에서는 오전, 오후를 잘못 쓴다거나 시작
시간이 제출 시간보다 늦게 입력한 사람들이 있고, 과도하게 (한 시간) 이상
소요된 것으로 나오는 사람들이 있어서 일일이 찾아서 수정하였고, 한 시간
이상은 사실상 설문지를 작성하다가 다른 일을 하고 다시 돌아와 마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NA 로 처리하였다. 소요 시간에 있어서도
국문과 영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적으로 34.6초, 즉 0분 35초정도 국문 질문지에 더 빨리 응답한다.
소요시간의 중위값을 비교해 보면 34 초, 약 0분 34초 만큼 국문 질문지에 더
빨리 응답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다.
summary()
국문:
6 |
126 |
170 |
263.1 |
251.2 |
3330 |
39 |
영문:
21 |
107 |
204 |
297.7 |
348 |
2358 |
40 |
geom_boxplot()

t.test()
on means
Welch Two Sample t-test: as.numeric(Duration)
by
group
-1.375 |
669.8 |
0.1697 |
two.sided |
263.1 |
297.7 |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일 단위
국문 |
138 |
29 |
22 |
22 |
14 |
8 |
13 |
46 |
21 |
19 |
9 |
8 |
8 |
18 |
영문 |
145 |
38 |
18 |
25 |
10 |
9 |
10 |
41 |
11 |
18 |
7 |
8 |
21 |
16 |
Pearson’s Chi-squared test: .
12.72 |
13 |
0.4697 |
막대그래프

Mosaic Pl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