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4/5 0시00분 현재 7명이 잘못 선택하였는데 Red 이면서 Black을 선택한 사람이 4명, Black 이면서 Red 를 선택한 사람이 3명 있었습니다. 7명을 랜덤하게 둘로 나누었을 때 이 이상 닮을 수는 없죠.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369 4
Black(랜덤화출석부) 3 379

퀴즈 응답 비교

Q1. 세종대왕 시대 조세제도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Red 32 62 40 44 194 372
Black 37 49 45 35 217 383
69 111 85 79 411 75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4.332 4 0.3629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9.1 14.7 11.3 10.5 54.4 100.0

Q2. 공법도입에 대한 대신들의 찬성율

공법도입과 대신들(집계표)

  10% 30% 50% 70% 90%
Red 193 69 37 53 20 372
Black 224 56 47 38 18 383
417 125 84 91 38 75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7.266 4 0.1225

공법도입과 대신들(%)

10% 30% 50% 70% 90%
55.2 16.6 11.1 12.1 5.0 100.0

Q3. 공법도입과 품관촌민들의 찬반

품관촌민들의 찬반(집계표)

  7:3 6:4 5:5 4:6 3:7
Red 33 253 24 47 15 372
Black 37 248 35 42 21 383
70 501 59 89 36 75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3.451 4 0.4854

품관촌민들의 찬반(%)

7:3 6:4 5:5 4:6 3:7
9.3 66.4 7.8 11.8 4.8 100.0

Q4. 공법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Red 85 59 204 24 372
Black 90 72 198 23 383
175 131 402 47 75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84 4 0.847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23.2 17.4 53.2 6.2 100.0

Q5. 1423년 조선시대 호구와 인구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Red 17 253 77 25 372
Black 25 249 88 21 383
42 502 165 46 75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477 3 0.4794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5.6 66.5 21.9 6.1 100.0

Q6. 지방관료와 품관촌민

찬반이 반대인 곳(집계표)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Red 29 50 64 29 200 372
Black 29 45 67 33 209 383
58 95 131 62 409 75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0.6278 4 0.9599

찬반이 반대인 곳(%)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7.7 12.6 17.4 8.2 54.2 100.0

주당 근로 69시간제 도입 찬반

Q7. 부연설명의 효과

Red

Black

부연설명을 찬성 쪽에 붙이는가(Red), 또는 반대 쪽에 붙이는가(Black)에 따라 응답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찬반여부에 대한 카이제곱테스트의 p-value를 놓고 볼 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합니다.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180 112 80 372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98 188 97 383
278 300 177 75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44.92 2 1.759e-10 * * *

% 비교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48.4 30.1 21.5 100.0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25.6 49.1 25.3 100.0

% 합계

두 그룹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기 때문에 합쳐 보는 것이 적절치 않으나 찬반의 총계를 보기 위하여 합침.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36.8 39.7 23.4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5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Red, Black 은 닮았는가?)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93 31 21 20 23 7 10 35 32 24 38 15 6 17
Black 80 33 24 25 14 10 13 37 34 21 30 25 17 20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4.01 13 0.3732

막대그래프

Mosaic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