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여전히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22명)와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23명)가 놀라울 정도로 닮았습니다. 45명이 동전을 던져서 앞면, 뒷면을 나눠보면 45 \(\pm\sqrt44/2\) = 23.5 \(\pm\) 3.3 명입니다. p-value 로 이야기해 보면 동전의 앞면이 17명 이하거나 27명 이상일 확률은 0.174 으로 0.05보다 훨씬 큰 값입니다.

제출시간 학번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24-03-09 10:16:24 20232835 Red Black
2024-03-09 18:47:59 20216719 Red Black
2024-03-10 22:32:01 20195240 Black Red
2024-03-10 22:52:46 20236119 Red Black
2024-03-10 23:16:06 20193823 Red Black
2024-03-11 00:09:13 20212357 Red Black
2024-03-11 18:18:14 20232952 Red Black
2024-03-11 18:34:26 20203532 Black Red
2024-03-12 12:33:51 20212537 Red Black
2024-03-12 14:09:55 20232625 Black Red
2024-03-12 15:54:29 20221701 Black Red
2024-03-12 16:55:48 20236704 Red Black
2024-03-12 22:00:34 20243205 Red Black
2024-03-12 22:14:11 20232353 Red Black
2024-03-13 00:51:39 20234128 Black Red
2024-03-13 16:25:17 20227100 Black Red
2024-03-13 18:07:33 20233250 Black Red
2024-03-13 18:16:30 20233321 Black Red
2024-03-13 20:25:46 20233236 Red Black
2024-03-13 20:59:18 20242360 Black Red
2024-03-14 15:16:25 20232550 Red Black
2024-03-14 17:04:00 20232553 Black Red
2024-03-14 17:45:00 20245267 Black Red
2024-03-14 21:23:23 20231638 Red Black
2024-03-14 21:49:31 20231633 Red Black
2024-03-14 22:06:59 20241722 Black Red
2024-03-14 22:40:50 20232851 Red Black
2024-03-14 23:17:35 20234114 Black Red
2024-03-15 00:02:19 20226639 Red Black
2024-03-15 18:01:38 20232983 Black Red
2024-03-15 18:25:44 20231509 Black Red
2024-03-15 19:23:38 20195213 Black Red
2024-03-17 13:24:19 20227116 Red Black
2024-03-17 15:01:14 20233707 Red Black
2024-03-17 19:49:14 20232704 Black Red
2024-03-17 23:21:16 20232703 Black Red
2024-03-18 10:03:16 20241021 Red Black
2024-03-18 17:48:37 20243360 Red Black
2024-03-19 09:28:12 20235262 Black Red
2024-03-19 17:46:14 20173225 Red Black
2024-03-20 17:27:18 20232108 Red Black
2024-03-20 17:49:37 20191015 Black Red
2024-03-20 17:56:03 20212739 Black Red
2024-03-20 23:11:33 20232991 Black Red
2024-03-21 15:51:56 20245170 Red Black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361 23
Black(랜덤화출석부) 22 360

퀴즈 응답 비교

Q1. 춘추전국시대에 국가통계관리의 중요성 강조

관자(집계표)

  공자 맹자 관자 노자 장자
Red 82 21 258 13 9 383
Black 64 25 263 21 10 383
146 46 521 34 19 766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4.55 4 0.3367

관자(%)

공자 맹자 관자 노자 장자
19.1 6.0 68.0 4.4 2.5 100.0

Q2. 국가정책을 수립하는 데 통계의 역할

통계의 중요성(집계표)

  절대로 중요하지 않다 거의 중요하지 않다 보통이다 상당히 중요하다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Red 0 3 11 177 192 383
Black 2 3 7 154 217 383
2 6 18 331 409 76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01 NA 0.1204

통계의 중요성(%)

절대로 중요하지 않다 거의 중요하지 않다 보통이다 상당히 중요하다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0.26 0.78 2.35 43.21 53.39 100.00

Q3.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집계표)

  2012 2017 2022 2027
Red 35 310 35 3 383
Black 34 316 30 3 383
69 626 65 6 76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4566 NA 0.931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

2012 2017 2022 2027
9.01 81.72 8.49 0.78 100.00

Q4. 우리나라 총인구 최대 시기

총인구 최대 시기(집계표)

  2018 2019 2020 2021
Red 80 50 230 23 383
Black 76 45 244 18 383
156 95 474 41 766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89 3 0.7081

총인구 최대 시기(%)

2018 2019 2020 2021
20.4 12.4 61.9 5.4 100.0

Q5. 소멸위험 단계 개선 지역

소멸위험 단계 개선 지역(집계표)

  서울 경기 세종 제주
Red 17 29 313 24 383
Black 19 43 296 25 383
36 72 609 49 766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3.328 3 0.3437

소멸위험 단계 개선 지역(%)

서울 경기 세종 제주
4.7 9.4 79.5 6.4 100.0

Q6. 조출생률과 합계출산율

조출생률과 합계출산율(집계표)

  합계출산율 A : 0.5, B : 0.125, C : 0.25 합계출산율 A : 0.25, B : 0.125, C : 0.5 합계출산율 A : 0.125, B : 0.5, C : 0.25 합계출산율 A : 0.5, B : 0.25, C : 0.125
Red 208 63 71 41 383
Black 210 60 71 42 383
418 123 142 83 766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0.09479 3 0.9925

조출생률과 합계출산율(%)

합계출산율 A : 0.5, B : 0.125, C : 0.25 합계출산율 A : 0.25, B : 0.125, C : 0.5 합계출산율 A : 0.125, B : 0.5, C : 0.25 합계출산율 A : 0.5, B : 0.25, C : 0.125
54.6 16.1 18.5 10.8 100.0

Cheating Charts

Q7. 눈속임 그래프

지난 학기까지 앞에 나오는 선지를 고르기 쉽다는 1번효과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서 테스트해 왔지만 효과를 검증하기 어려워 문제를 바꿔 보았습니다. 언론방송에서 가끔 원형그래프나 막대그래프를 제시하면서 숫자와 그림이 맞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그런 경우에 어떻게 인식하는 지 Red 와 Black 에 언론기관에서 발표한 눈속임 그래프를 보여주면서 어떤 응답이 나올지 살펴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은 대부분 눈속임 그래프에 속지 않고 있습니다. 언론기관들이 왜 이런 짓들을 하는지 궁금해집니다.

Red

Black

집계표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제대로 보여주고 있지 않다 모름/응답거절
Red(김영란법 국회통과) 89 231 63 383
Black(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 설립) 125 187 71 383
214 418 134 766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1.17 2 0.003763 * *

% 비교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제대로 보여주고 있지 않다 모름/응답거절
Red(김영란법 국회통과) 23.2 60.3 16.4 100.0
Black(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 설립) 32.6 48.8 18.5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아직은 학기초라 덜 한데, 중반 이후가 되면 마지막 날, 그것도 오후2시부터 몰리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Red 56 28 17 22 21 12 15 48 36 34 48 26 20
Black 51 34 22 28 17 15 9 48 50 26 36 27 20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9.509 12 0.659

막대그래프

Mosaic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