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랜덤화 효과를 논하기에는 아주
적은 인원이 관찰되었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2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1명)이 비슷합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20233522 |
신라온 |
Black |
Red |
20236706 |
김가빈 |
Black |
Red |
Red(랜덤화출석부) |
238 |
0 |
Black(랜덤화출석부) |
2 |
246 |
퀴즈 응답 비교
Q1. Latane and Darley

방관자 효과
Red |
143 |
58 |
31 |
8 |
240 |
Black |
136 |
66 |
33 |
11 |
246 |
계 |
279 |
124 |
64 |
19 |
486 |
Pearson’s Chi-squared test: .
1.154 |
3 |
0.764 |
Q2. Stanley Milgram

450V까지 누르는 사람
Red |
13 |
41 |
173 |
13 |
240 |
Black |
15 |
45 |
170 |
16 |
246 |
계 |
28 |
86 |
343 |
29 |
486 |
Pearson’s Chi-squared test: .
0.5915 |
3 |
0.8984 |
Q3. Solomon Asch

Power of 3
Red |
17 |
39 |
44 |
140 |
240 |
Black |
22 |
59 |
35 |
130 |
246 |
계 |
39 |
98 |
79 |
270 |
486 |
Pearson’s Chi-squared test: .
6.045 |
3 |
0.1094 |
Q4. BFI 줄 긋기

몇 개나 맞추나?
Red |
20 |
27 |
12 |
23 |
158 |
240 |
Black |
18 |
38 |
21 |
27 |
142 |
246 |
계 |
38 |
65 |
33 |
50 |
300 |
486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5.521 |
NA |
0.2379 |
몇 개나 맞추나? (%)
7.8 |
13.4 |
6.8 |
10.3 |
61.7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3.7, 1.8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Q5. 다중지능 짝 짓기

몇 개나 맞추나?
Red |
15 |
11 |
8 |
7 |
8 |
5 |
57 |
129 |
240 |
Black |
15 |
15 |
14 |
4 |
16 |
7 |
41 |
134 |
246 |
계 |
30 |
26 |
22 |
11 |
24 |
12 |
98 |
263 |
486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8.704 |
NA |
0.2809 |
몇 개나 맞추나? (%)
6.2 |
5.3 |
4.5 |
2.3 |
4.9 |
2.5 |
20.2 |
54.1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6.1, 2.6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Q6.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
Red |
22 |
12 |
24 |
181 |
1 |
240 |
Black |
16 |
17 |
37 |
173 |
3 |
246 |
계 |
38 |
29 |
61 |
354 |
4 |
486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5.688 |
NA |
0.2389 |
자기성찰지능 (%)
7.82 |
5.97 |
12.55 |
72.84 |
0.82 |
100.00 |
Framing Effect
Q7. 삶과 죽음


교통사고로 다리가 부러진 것은 마찬가지인데 다른사람들의 상태가
어떤가에 따라 드는 생각의 차이를 알아 보았습니다. 집계결과는 이러한
생각조차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집계
모두 멀쩡 상황 |
113 |
127 |
240 |
모두 사망 상황 |
135 |
111 |
246 |
계 |
248 |
238 |
486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2.65 |
1 |
0.1036 |
% 비교.
모두 멀쩡 상황 |
47.1 |
52.9 |
100.0 |
모두 사망 상황 |
54.9 |
45.1 |
100.0 |
Mosaic Plot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일 단위
Red |
0 |
9 |
19 |
9 |
12 |
8 |
6 |
55 |
22 |
21 |
7 |
23 |
19 |
30 |
Black |
0 |
20 |
19 |
13 |
10 |
12 |
14 |
41 |
27 |
6 |
18 |
17 |
20 |
29 |
## Warning in chisq.test(., simulate.p.value = TRUE): cannot compute simulated p-value with zero marginals
## Warning in chisq.test(., simulate.p.value = TRUE): Chi-squared approximation may be incorrect
Pearson’s Chi-squared test: .
NA |
13 |
NaN NA |
막대그래프

Mosaic Plot
## Warning: Removed 2 rows containing missing values (`position_stack()`).
## Warning: Removed 2 rows containing missing values (`geom_text()`).

## Warning: Removed 2 rows containing missing values (`position_stack()`).
## Removed 2 rows containing missing values (`geom_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