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4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3명)은 공평한 동전을 7번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오는 횟수와 뒷면이 나오는 횟수가 가장 닮은
경우입니다. 앞면이 3회 이하 나오거나 4회 이상 나올 확률은 바로
1입니다.
Red(랜덤화출석부) |
417 |
4 |
Black(랜덤화출석부) |
3 |
415 |
응답 집계
Q1. 월간 독서율

집계
Red |
333 |
62 |
19 |
6 |
420 |
Black |
322 |
67 |
25 |
5 |
419 |
계 |
655 |
129 |
44 |
11 |
83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1.286 |
NA |
0.7446 |
Q2. 지역 및 지역크기별 가구수 비례 무작위추출법

집계
Red |
347 |
44 |
13 |
16 |
420 |
Black |
332 |
52 |
23 |
12 |
419 |
계 |
679 |
96 |
36 |
28 |
83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4.346 |
NA |
0.2339 |
Q3. 한달 독서량의 분포

집계
Red |
25 |
20 |
240 |
65 |
70 |
420 |
Black |
27 |
25 |
234 |
61 |
72 |
419 |
계 |
52 |
45 |
474 |
126 |
142 |
83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0.8624 |
NA |
0.9365 |
%
6.2 |
5.4 |
56.5 |
15.0 |
16.9 |
100.0 |
Q4. 최근 1개월간 독서량

집계
Red |
60 |
38 |
270 |
24 |
28 |
420 |
Black |
53 |
33 |
281 |
27 |
25 |
419 |
계 |
113 |
71 |
551 |
51 |
53 |
83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1.35 |
NA |
0.8406 |
%
13.5 |
8.5 |
65.7 |
6.1 |
6.3 |
100.0 |
Q5. 20대의 연간독서율

집계
Red |
7 |
26 |
45 |
72 |
270 |
420 |
Black |
9 |
25 |
45 |
74 |
266 |
419 |
계 |
16 |
51 |
90 |
146 |
536 |
83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0.3257 |
NA |
0.9905 |
%
1.9 |
6.1 |
10.7 |
17.4 |
63.9 |
100.0 |
Q6. 50대의 연간독서율

집계
Red |
30 |
51 |
73 |
40 |
226 |
420 |
Black |
33 |
59 |
84 |
37 |
206 |
419 |
계 |
63 |
110 |
157 |
77 |
432 |
83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2.537 |
NA |
0.6257 |
%
7.5 |
13.1 |
18.7 |
9.2 |
51.5 |
100.0 |
내가 살고 싶은 세상
Q7. 내가 남보다, 혹은 남이 나보다


소득의 절대값이 아니라 상대 비교가 중요하다는 Solnick and
Hemenway(1998)의 연구결과와 일치. 랜덤화하였지만 응답에는 차이가
없음.
집계
Red(‘내가 남보다’ 먼저) |
332 |
88 |
420 |
Black(‘남이 나보다’ 먼저) |
314 |
105 |
419 |
계 |
646 |
193 |
83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1.998 |
NA |
0.1729 |
% 비교.
Red(‘내가 남보다’ 먼저) |
79.0 |
21.0 |
100.0 |
Black(‘남이 나보다’ 먼저) |
74.9 |
25.1 |
100.0 |
합산(%)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7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일 단위
Red |
95 |
31 |
18 |
8 |
6 |
7 |
22 |
74 |
27 |
30 |
20 |
31 |
25 |
26 |
Black |
96 |
26 |
17 |
9 |
10 |
8 |
17 |
60 |
24 |
33 |
27 |
35 |
34 |
23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6.861 |
NA |
0.91 |
막대그래프

Mosaic Pl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