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잘못 선택하는 사람들의 수효가 7명인데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이 4명이 나왔습니다. 7명을 둘로 나눌 때 가장 닮은 구성입니다. 따라서 공평한 동전을 7회 던져서 앞면이 3회 이하 나오거나 아니면 4회 이상 나오니까 바로 p-value는 1입니다. 굳이 학번을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설문지에서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412 4
Black(랜덤화출석부) 3 429

응답 결과

Q1. 한글의 문자 유형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한글은 민주 문자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Red 386 29 415
Black 398 35 433
784 64 84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3643 NA 0.6027

한글은 민주 문자(%)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92.5 7.5 100.0

Q2. 정보혁명과 문자 체계

정보혁명을 이끄는 문자는 한글(집계표)

  한자 한글
Red 40 375 415
Black 42 391 433
82 766 84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0009091 NA 1

정보혁명을 이끄는 문자는 한글(%)

한자 한글
9.7 90.3 100.0

Q3. 알기 힘든 전문 용어

몇 개나 아나요?(집계표)

  하나도 없다 1개 2개 3개 4개
Red 237 84 58 16 20 415
Black 233 102 53 24 21 433
470 186 111 40 41 84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245 NA 0.5187

몇 개나 아나요?(%)

하나도 없다 1개 2개 3개 4개
55.4 21.9 13.1 4.7 4.8 100.0

Q4. 해방직후 비문해율

집계

  90% 80% 50% 20% 10%
Red 27 257 57 52 22 415
Black 21 267 62 63 20 433
48 524 119 115 42 84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917 NA 0.7571

%

90% 80% 50% 20% 10%
5.7 61.8 14.0 13.6 5.0 100.0

Q5. 세대간 문해력 격차

집계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Red 303 18 40 54 415
Black 301 12 46 74 433
604 30 86 128 84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37 NA 0.2354

%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71.2 3.5 10.1 15.1 100.0

Q6. 문해력 격차의 파급효과

집계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Red 197 46 83 50 39 415
Black 199 59 108 36 31 433
396 105 191 86 70 848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7.707 4 0.1029

%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46.7 12.4 22.5 10.1 8.3 100.0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Q7. 단어의 영향

Red

Black

똑같은 상황에서 긍정적인 단어를 보고 답하는 것 (Red)과, 부정적인 단어를 보고 답하는 것(Black)에 따라 Red 집단에는 긍정적 답변의 비율이 높게, Black 집단에는 부정적 답변의 비율이 높게 나올 것으로 기대한 대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관찰됨. 힘든 상황이라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길~~^^

  반이나 반밖에 모름/기타
Red(긍정적 단어) 316 82 17 415
Black(부정적 단어) 122 273 38 433
438 355 55 84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96.4 NA 0.0004998 * * *

% 비교.

  반이나 반밖에 모름/무응답
Red(긍정적 단어) 76.1 19.8 4.1 100.0
Black(부정적 단어) 28.2 63.0 8.8 100.0

% 합계

반이나 반밖에 모름/무응답
51.7 41.9 6.5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6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20 31 14 11 11 9 11 45 34 17 15 25 31 41
Black 132 14 15 11 17 11 6 52 35 13 28 34 24 41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6.86 NA 0.1969

막대그래프

Mosaic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