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10/1 23시59분 현재 15명이 잘못 선택하였는데 Red 이면서 Black을 선택한 사람이 9명, Black 이면서 Red 를 선택한 사람이 6명 있었습니다. 기대값과 표준오차를 계산해 보면 \(15/2\pm\sqrt{15}/2\) = \(7.5 \pm1.9\) 로 계산됩니다. 6이나 9는 이 범위에 잘 들어갑니다. 공평한 동전을 15회 던져서 앞면이 6번 이하 또는 9번 이상 나올 확률은 0.61입니다. 즉, p-value 가 0.05보다 매우 큽니다.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421 9
Black(랜덤화출석부) 6 422

퀴즈 응답 비교

Q1. 세종대왕 시대 조세제도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Red 43 55 40 54 235 427
Black 51 67 61 59 193 431
94 122 101 113 428 85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0.55 NA 0.03648 *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11.0 14.2 11.8 13.2 49.9 100.0

Q2. 공법도입에 대한 대신들의 찬성율

공법도입과 대신들(집계표)

  10% 30% 50% 70% 90%
Red 233 77 52 47 18 427
Black 204 77 68 53 29 431
437 154 120 100 47 85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6.974 NA 0.1459

공법도입과 대신들(%)

10% 30% 50% 70% 90%
50.9 17.9 14.0 11.7 5.5 100.0

Q3. 공법도입과 품관촌민들의 찬반

품관촌민들의 찬반(집계표)

  7:3 6:4 5:5 4:6 3:7
Red 45 274 36 46 26 427
Black 41 256 38 59 37 431
86 530 74 105 63 85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363 NA 0.3708

품관촌민들의 찬반(%)

7:3 6:4 5:5 4:6 3:7
10.0 61.8 8.6 12.2 7.3 100.0

Q4. 공법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Red 107 73 220 27 427
Black 108 80 213 30 431
215 153 433 57 85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5773 NA 0.964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25.1 17.8 50.5 6.6 100.0

Q5. 1423년 조선시대 호구와 인구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Red 23 284 90 30 427
Black 29 275 98 29 431
52 559 188 59 85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176 NA 0.7536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6.1 65.2 21.9 6.9 100.0

Q6. 지방관료와 품관촌민

찬반이 반대인 곳(집계표)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Red 38 72 63 42 212 427
Black 35 74 83 50 189 431
73 146 146 92 401 85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887 NA 0.3028

찬반이 반대인 곳(%)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8.5 17.0 17.0 10.7 46.7 100.0

주당 근로 69시간제 도입 찬반

Q7. 부연설명의 효과

Red

Black

부연설명을 찬성 쪽에 붙이는가(Red), 또는 반대 쪽에 붙이는가(Black)에 따라 응답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찬반여부에 대한 카이제곱테스트의 p-value를 놓고 볼 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합니다.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182 165 80 427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116 219 96 431
298 384 176 85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3.65 NA 0.0004998 * * *

% 비교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42.6 38.6 18.7 100.0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26.9 50.8 22.3 100.0

% 합계

두 그룹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기 때문에 합쳐 보는 것이 적절치 않으나 찬반의 총계를 보기 위하여 합침.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34.7 44.8 20.5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5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01 21 4 6 17 8 12 68 37 34 22 23 30 44
Black 97 23 12 11 9 9 19 66 40 29 23 23 23 4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1.31 NA 0.5982

막대그래프

Mosaic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