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랜덤화 효과는 여기서도 작동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8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7명)이 비슷합니다 group 을 잘못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효조차 Red, Black 에 비슷하게 나뉘었습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이름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171704 김교민 Red Black
20194108 김성민 Red Black
20222413 손효빈 Red Black
20233001 이다경 Red Black
20234132 오재혁 Red Black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158 5
Black(랜덤화출석부) 0 173

퀴즈 응답 비교

Q1. Wilkinson

소득불평등과 건강 및 사회문제 지표

  소득불평등이 심한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이 많은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불평등이 심하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소득이 많아지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Red 85 28 41 4 158
Black 97 26 49 6 178
182 54 90 10 33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7887 NA 0.8686

소득불평등과 건강 및 사회문제 지표 (%)

소득불평등이 심한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이 많은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불평등이 심하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소득이 많아지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54.2 16.1 26.8 3.0 100.0

Q2. 소득 상위1%의 몫과 시대적 사건들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침체,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번영, 대공황,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Red 33 29 21 75 158
Black 38 31 25 84 178
71 60 46 159 33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08587 NA 0.996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침체,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번영, 대공황,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21.1 17.9 13.7 47.3 100.0

Q3. Piketty의 21세기 자본

상위10%의 총소득 점유율

  25% 35% 50% 60%
Red 16 47 70 25 158
Black 23 38 77 40 178
39 85 147 65 33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831 NA 0.1809

상위10%의 총소득 점유율 (%)

25% 35% 50% 60%
11.6 25.3 43.8 19.3 100.0

Q4. World Top Income Database

우리나라 상위10%의 소득점유율

  25% 35% 45% 60%
Red 22 32 89 15 158
Black 15 34 103 26 178
37 66 192 41 33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181 NA 0.2329

우리나라 상위10%의 소득점유율(%)

25% 35% 45% 60%
11.0 19.6 57.1 12.2 100.0

Q5. 황금기와 신자유주의 시기

5분위별 소득증가율 비교

  황금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황금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Red 33 82 29 14 158
Black 28 103 30 17 178
61 185 59 31 33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917 NA 0.5922

5분위별 소득증가율 비교 (%)

황금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황금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18.2 55.1 17.6 9.2 100.0

Q6. 주역

천지비

  지천태 천지비 풍뢰익 산택손
Red 24 73 38 23 158
Black 25 106 29 18 178
49 179 67 41 33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6.756 NA 0.08396

천지비 (%)

지천태 천지비 풍뢰익 산택손
14.6 53.3 19.9 12.2 100.0

Q7. Prospect Theory

이득과 손실

이득은 완전히 하고, 손실은 피하고자 하는 경향 확인. Red는 이득을 완전히 확보하려는 게임(A)에, Black은 손실을 확률적으로 피하려는 게임(B)을 많이 선택.

집계

  확률 100% 확률 90%
이득 게임 131 27 158
손실 게임 68 110 178
199 137 33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69.28 NA 0.0004998 * * *

Mosaic Plot

% 비교.

  확률 100% 확률 90%
이득 게임 82.9 17.1 100.0
손실 게임 38.2 61.8 100.0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0 0 0 2 9 5 12 23 21 20 6 12 12 36
Black 0 0 0 2 7 13 19 29 22 16 14 10 17 29
## Warning in chisq.test(.): Chi-squared approximation may be incorrect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NA 13 NaN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