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21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13명)가 상당히 차이가 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공평한 동전을 34번 던질 때 앞 면이 13번 이하 나오거나 21번 이상 나올 확률을 계산해 보면 0.263입니다. p-value 기준 0.05보다 훨씬 큰 값이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라고 합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이름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181102 조성빈 Red Black
20183716 송민석 Red Black
20183802 경규원 Red Black
20193258 최완빈 Black Red
20195189 송태웅 Red Black
20201506 김서연 Black Red
20202982 송혜주 Red Black
20203007 이연수 Black Red
20203041 주성민 Red Black
20203329 송진하 Red Black
20203916 노성훈 Red Black
20206611 류형우 Red Black
20211604 김소희 Black Red
20213341 조소연 Red Black
20213929 박민경 Red Black
20221073 이승연 Black Red
20221523 오예진 Red Black
20221526 이나현 Red Black
20221529 이승은 Red Black
20221531 이예현 Black Red
20221531 이예현 Black Red
20221607 김현경 Red Black
20222231 이주원 Black Red
20222413 손효빈 Red Black
20222742 이유진 Red Black
20223430 차수연 Red Black
20226176 최태웅 Black Red
20232619 오예진 Black Red
20232984 안정빈 Black Red
20233001 이다경 Red Black
20233405 나승현 Black Red
20233636 이혜지 Red Black
20233832 이연서 Red Black
20235127 김민주 Black Red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432 21
Black(랜덤화출석부) 13 432

응답 집계

Q1. 월간 독서율

집계

  월간독서율 월간독서량 월간도서구입율 월간 도서구입량
Red 349 79 13 4 445
Black 378 56 16 3 453
727 135 29 7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5.458 NA 0.1414

%

월간독서율 월간독서량 월간도서구입율 월간 도서구입량
81.0 15.0 3.2 0.8 100.0

Q2. 지역 및 지역크기별 가구수 비례 무작위추출법

집계

  공평하게 소득 순으로 학력 순으로 연령 순으로
Red 375 41 19 10 445
Black 382 37 20 14 453
757 78 39 24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891 NA 0.8421

%

공평하게 소득 순으로 학력 순으로 연령 순으로
84.3 8.7 4.3 2.7 100.0

Q3. 한달 독서량의 분포

집계

  책을 한달 평균 독서량 분포를
Red 32 20 265 47 81 445
Black 26 26 242 64 95 453
58 46 507 111 176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6.093 NA 0.1954

%

책을 한달 평균 독서량 분포를
6.5 5.1 56.5 12.4 19.6 100.0

Q4. 최근 1개월간 독서량

집계

  최근 1개월간 독서율 읽지 않았다 56.2%
Red 60 24 316 28 17 445
Black 56 30 307 33 27 453
116 54 623 61 44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546 NA 0.4698

%

최근 1개월간 독서율 읽지 않았다 56.2%
12.9 6.0 69.4 6.8 4.9 100.0

Q5. 20대의 연간독서율

집계

  72.0% 76.7% 65.4% 52.1% 40.7%
Red 12 27 58 62 286 445
Black 14 27 56 76 280 453
26 54 114 138 566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602 NA 0.8051

%

72.0% 76.7% 65.4% 52.1% 40.7%
2.9 6.0 12.7 15.4 63.0 100.0

Q6. 50대의 연간독서율

집계

  20-29세 31.3%, 60세 이상 2.5% 20-29세 27.8%, 60세 이상 1% 20-29세 34.7%, 60세 이상 1.3% 20-29세 39%, 60세 이상 2% 20-29세 50.5%, 60세 이상 2.3%
Red 37 65 72 45 226 445
Black 30 79 79 48 217 453
67 144 151 93 443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626 NA 0.6257

%

20-29세 31.3%, 60세 이상 2.5% 20-29세 27.8%, 60세 이상 1% 20-29세 34.7%, 60세 이상 1.3% 20-29세 39%, 60세 이상 2% 20-29세 50.5%, 60세 이상 2.3%
7.5 16.0 16.8 10.4 49.3 100.0

내가 살고 싶은 세상

Q7. 내가 남보다, 혹은 남이 나보다

소득의 절대값이 아니라 상대 비교가 중요하다는 Solnick and Hemenway(1998)의 연구결과와 일치. 랜덤화하였지만 응답에는 차이가 없음.

집계

  내가 남보다 남이 나보다
Red(‘내가 남보다’ 먼저) 336 109 445
Black(‘남이 나보다’ 먼저) 338 115 453
674 224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09539 NA 0.7726

% 비교.

  내가 남보다 남이 나보다
Red(‘내가 남보다’ 먼저) 75.5 24.5 100.0
Black(‘남이 나보다’ 먼저) 74.6 25.4 100.0

합산(%)

  내가 남보다 남이 나보다
75.1 24.9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7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38 37 27 16 14 13 19 35 28 25 20 17 25 30
Black 129 41 24 17 13 11 19 45 21 21 22 29 28 31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6.874 13 0.9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