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잘못 선택하는 사람들의 수효가 8명인데 Black 에서 7명이 나왔습니다. 인원이 많이 줄어서 상당히 차이가 나 보이지만 p-value가 0.07로 여전히 랜덤화 효과로 설명이 되는 수준입니다. 굳이 학번을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234132 Red Black
20183802 Red Black
20222413 Red Black
20222760 Red Black
20203007 Black Red
20203041 Red Black
20203329 Red Black
20233254 Red Black
20183716 Red Black
20221531 Black Red
20235127 Black Red
20221073 Black Red
20207034 Black Red
20196617 Black Red
20221607 Red Black
20236789 Black Red
20215114 Red Black
20213341 Red Black
20181102 Red Black
20233001 Red Black
20222722 Red Black
20221526 Red Black
20211604 Black Red
20233636 Red Black
20203916 Red Black
20226176 Black Red
20221523 Red Black
20206611 Red Black
20201506 Black Red
20213929 Red Black
20226646 Red Black
20222638 Red Black
20236703 Black Red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429 22
Black(랜덤화출석부) 11 436

응답 결과

Q1. 한글의 문자 유형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한글은 민주 문자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Red 404 36 440
Black 416 42 458
820 78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2765 NA 0.6237

한글은 민주 문자(%)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91.3 8.7 100.0

Q2. 정보혁명과 문자 체계

정보혁명을 이끄는 문자는 한글(집계표)

  한자 한글
Red 55 385 440
Black 50 408 458
105 793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5446 NA 0.4848

정보혁명을 이끄는 문자는 한글(%)

한자 한글
11.7 88.3 100.0

Q3. 알기 힘든 전문 용어

몇 개나 아나요?(집계표)

  하나도 없다 1개 2개 3개 4개
Red 263 92 60 12 13 440
Black 266 91 60 22 19 458
529 183 120 34 32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729 NA 0.4308

몇 개나 아나요?(%)

하나도 없다 1개 2개 3개 4개
58.9 20.4 13.4 3.8 3.6 100.0

Q4. 해방직후 비문해율

집계

  90% 80% 50% 20% 10%
Red 36 273 69 38 24 440
Black 36 277 64 56 25 458
72 550 133 94 49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325 NA 0.5067

%

90% 80% 50% 20% 10%
8.0 61.2 14.8 10.5 5.5 100.0

Q5. 세대간 문해력 격차

집계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Red 307 25 53 55 440
Black 315 17 68 58 458
622 42 121 113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206 NA 0.3678

%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69.3 4.7 13.5 12.6 100.0

Q6. 문해력 격차의 파급효과

집계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Red 197 45 120 33 45 440
Black 181 47 143 38 49 458
378 92 263 71 94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895 4 0.5756

%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42.1 10.2 29.3 7.9 10.5 100.0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Q7. 단어의 영향

Red

Black

똑같은 상황에서 긍정적인 단어를 보고 답하는 것 (Red)과, 부정적인 단어를 보고 답하는 것(Black)에 따라 Red 집단에는 긍정적 답변의 비율이 높게, Black 집단에는 부정적 답변의 비율이 높게 나올 것으로 기대한 대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관찰됨. 힘든 상황이라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길~~^^

  반이나 반밖에 모름/기타
Red(긍정적 단어) 348 72 20 440
Black(부정적 단어) 154 273 31 458
502 345 51 898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94.2 NA 0.0004998 * * *

% 비교.

  반이나 반밖에 모름/무응답
Red(긍정적 단어) 79.1 16.4 4.5 100.0
Black(부정적 단어) 33.6 59.6 6.8 100.0

% 합계

반이나 반밖에 모름/무응답
55.9 38.4 5.7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6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50 37 34 15 15 22 25 28 27 15 17 15 19 21
Black 149 44 17 21 22 19 14 32 22 25 19 22 29 22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8.42 13 0.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