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31명이 잘못 선택하였는데 Red 이면서 Black을 선택한 사람이 20명, Black 이면서 Red 를 선택한 사람이 11명 있었습니다. 많이 차이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행횟수 31회인 이항분포에서 11개 이하나 20개 이상의 앞면을 관찰할 확률은 0.15입니다. 이게 p-value 인데 0.05를 훨씬 넘습니다. 랜덤화효과로 보아도 무방하다는 의미입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182881 Red Black
20182946 Red Black
20183716 Red Black
20183802 Red Black
20196617 Black Red
20201506 Black Red
20203007 Black Red
20203329 Red Black
20203916 Red Black
20206611 Red Black
20213341 Red Black
20213929 Red Black
20215114 Red Black
20221073 Black Red
20221523 Red Black
20221529 Red Black
20221531 Black Red
20221607 Red Black
20222413 Red Black
20222638 Red Black
20222722 Red Black
20222742 Red Black
20222760 Red Black
20226176 Black Red
20232348 Black Red
20232984 Black Red
20233254 Red Black
20233636 Red Black
20235127 Black Red
20236703 Black Red
20236789 Black Red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442 20
Black(랜덤화출석부) 11 444

퀴즈 응답 비교

Q1. 세종대왕 시대 조세제도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Red 41 71 48 67 226 453
Black 53 70 66 56 219 464
94 141 114 123 445 91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5.344 NA 0.2649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10.3 15.4 12.4 13.4 48.5 100.0

Q2. 공법도입에 대한 대신들의 찬성율

공법도입과 대신들(집계표)

  10% 30% 50% 70% 90%
Red 249 82 58 47 17 453
Black 239 98 61 43 23 464
488 180 119 90 40 91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649 NA 0.6092

공법도입과 대신들(%)

10% 30% 50% 70% 90%
53.2 19.6 13.0 9.8 4.4 100.0

Q3. 공법도입과 품관촌민들의 찬반

품관촌민들의 찬반(집계표)

  7:3 6:4 5:5 4:6 3:7
Red 46 301 28 47 31 453
Black 47 285 42 63 27 464
93 586 70 110 58 91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5.72 NA 0.2159

품관촌민들의 찬반(%)

7:3 6:4 5:5 4:6 3:7
10.1 63.9 7.6 12.0 6.3 100.0

Q4. 공법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Red 131 79 216 27 453
Black 122 80 233 29 464
253 159 449 56 91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9097 NA 0.9255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27.6 17.3 49.0 6.1 100.0

Q5. 1423년 조선시대 호구와 인구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Red 28 297 98 30 453
Black 32 280 111 41 464
60 577 209 71 91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149 NA 0.3613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6.5 62.9 22.8 7.7 100.0

Q6. 지방관료와 품관촌민

찬반이 반대인 곳(집계표)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Red 46 66 62 49 230 453
Black 54 74 69 46 221 464
100 140 131 95 451 91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614 NA 0.8056

찬반이 반대인 곳(%)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10.9 15.3 14.3 10.4 49.2 100.0

주당 근로 69시간제 도입 찬반

Q7. 부연설명의 효과

Red

Black

부연설명을 찬성 쪽에 붙이는가(Red), 또는 반대 쪽에 붙이는가(Black)에 따라 응답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찬번여부에 대한 카이제곱테스트의 p-value를 놓고 볼 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합니다.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152 222 79 453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107 277 80 464
259 499 159 91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76 NA 0.0004998 * * *

% 비교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33.6 49.0 17.4 100.0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23.1 59.7 17.2 100.0

% 합계

두 그룹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기 때문에 합쳐 보는 것이 적절치 않으나 찬반의 총계를 보기 위하여 합침.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28.2 54.4 17.3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5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26 54 26 12 15 16 18 45 30 20 21 17 15 38
Black 136 37 21 11 17 13 16 42 44 34 20 26 17 30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91 13 0.3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