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해당하는 인원이 워낙 적어서 랜덤화 효과를 논할 필요도 없습니다. 세 명이 잘못 선택하였는데 Black 인데 Red 를 선택한 사람이 1명, Red 인데 Black을 선택한 사람이 2명 있었습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3 20203916 Red Black
70 20232304 Red Black
75 20232903 Red Black
89 20236769 Red Black
141 20234115 Black Red
146 20183802 Red Black
155 20222413 Red Black
179 20221531 Black Red
189 20236150 Red Black
207 20215114 Red Black
250 20236789 Black Red
256 20233254 Red Black
266 20182881 Red Black
282 20226176 Black Red
307 20191011 Red Black
324 20203349 Red Black
383 20221523 Red Black
397 20203539 Red Black
404 20213929 Red Black
414 20196617 Black Red
426 20221607 Red Black
445 20233001 Black Red
454 20222742 Red Black
460 20222760 Red Black
479 20182946 Red Black
484 20203007 Black Red
540 20203329 Red Black
565 20206611 Red Black
567 20221097 Black Red
571 20221073 Black Red
610 20236104 Red Black
613 20232540 Black Red
620 20231099 Black Red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328 22
Black(랜덤화출석부) 11 314

퀴즈 응답 비교

Q1. 세종대왕 시대 조세제도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Red 28 57 35 47 173 340
Black 33 58 39 40 166 336
61 115 74 87 339 67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19 NA 0.8576

조선초기 조세제도(%)

과전법 체제에서 전국 토지를 세 등급으로 나누고 실제 수확량을 확인하여 징수하였다. ’조(租)’는 공전(公田)의 경작자가 국고에 상납하는 지대 또는 사전(私田)의 경작자가 전주에게 바치는 지대를 뜻한다. ’세(稅)’는 사전의 소유자가 국가에 상납하는 지대를 뜻한다. 실제로 현장에 나가서 수확량을 파악하고 등급을 매기는 답험(踏驗)을 하였다. 등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대동(大同)법을 실시하였다.
9.0 17.0 10.9 12.9 50.1 100.0

Q2. 공법도입에 대한 대신들의 찬성율

공법도입과 대신들(집계표)

  10% 30% 50% 70% 90%
Red 187 62 44 33 14 340
Black 170 73 37 34 22 336
357 135 81 67 36 67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08 NA 0.3998

공법도입과 대신들(%)

10% 30% 50% 70% 90%
52.8 20.0 12.0 9.9 5.3 100.0

Q3. 공법도입과 품관촌민들의 찬반

품관촌민들의 찬반(집계표)

  7:3 6:4 5:5 4:6 3:7
Red 38 224 22 32 24 340
Black 37 205 23 51 20 336
75 429 45 83 44 67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5.567 NA 0.2434

품관촌민들의 찬반(%)

7:3 6:4 5:5 4:6 3:7
11.1 63.5 6.7 12.3 6.5 100.0

Q4. 공법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Red 104 56 159 21 340
Black 90 59 167 20 336
194 115 326 41 67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286 NA 0.8516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28.7 17.0 48.2 6.1 100.0

Q5. 1423년 조선시대 호구와 인구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Red 21 221 74 24 340
Black 19 207 75 35 336
40 428 149 59 67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592 NA 0.4563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5.9 63.3 22.0 8.7 100.0

Q6. 지방관료와 품관촌민

찬반이 반대인 곳(집계표)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Red 32 46 49 37 176 340
Black 39 56 46 36 159 336
71 102 95 73 335 67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618 NA 0.6092

찬반이 반대인 곳(%)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10.5 15.1 14.1 10.8 49.6 100.0

주당 근로 69시간제 도입 찬반

Q7. 부연설명의 효과

Red

Black

부연설명을 찬성 쪽에 붙이는가(Red), 또는 반대 쪽에 붙이는가(Black)에 따라 응답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찬번여부에 대한 카이제곱테스트의 p-value를 놓고 볼 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합니다.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125 155 60 340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77 208 51 336
202 363 111 67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9.85 NA 0.0004998 * * *

% 비교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Red(찬성한다에 부연설명) 36.8 45.6 17.6 100.0
Black(반대한다에 부연설명) 22.9 61.9 15.2 100.0

% 합계

두 그룹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기 때문에 합쳐 보는 것이 적절치 않으나 찬반의 총계를 보기 위하여 합침.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름/무응답
29.9 53.7 16.4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5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1 54 26 12 15 16 18 45 30 20 22 18 15 38
Black 7 37 21 11 17 13 16 43 44 34 20 26 17 30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4.11 13 0.3662